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ock trading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매수 스나이핑과 물타기 - 실전 주식 투자 | Sniping Big Buying & Averaging Down

매수 스나이핑과 물타기(주식 매수 단가 낮추기) A. 매수 스나이핑과 손실 매도 어느 위치에서 매수를 할 것인가. 투자할 종목을 선정했다면, 매수 진입 시점이 고민 이 됩니다. 장기 투자든 단기 투자든 관계없이, 상승 중일 때 따라잡을 것인지, 눌림 목에 잡을 것인지, 저항선을 뚫고 오르는 시점에 잡을 것인지, 지지선을 깨고 내려오는 시점에 잡을 것인지 고민하게 됩니다. 매수 이후의 종목의 상황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 그렇기에, 어느 지점에 매수를 해야 한다는 것에 정답은 없습니다 . 어느 지점에서 첫 매수를 하게 되든, 오르면 잘한 것이고, 내리면 못한 것이 됩니다. 왜 이럴까요? 한 번에 타이밍을 잡아서, 많은 비중을 싣고자 하기 때문 입니다. 이것을 매수 스나이핑 이라고 합니다. 욕심에서 비롯 됩니다. 뒤가 없는 매수를 하게 될 때, 매수 위치와 타이밍에 골몰 하게 됩니다. 사람에 따라 이것에 정답이 없음을 알게 되는데 각기 다른 시간이 걸립니다. 물론, 개인에 따라, 상승 확률이 높은 지점을 찾을 수는 있겠지요. 하지만, 저의 경우 이러한 위치와 타이밍은 정답이 없다고 생각 합니다. 조금 더 높은 확률만 있습니다. 한 번에 타이밍을 잡아  무리한 비중을 매수하게 되면, 하락 시, 빠른 손실 매도 대응은 필수 입니다. 운이 나빠서 손실 매도 대응 횟수가 많아지게 되면, 계좌는 빠르게 녹아내립니다. B. 물타기 그래서, 욕심을 내려 놓고, 첫 매수 시점부터 분할 매수 계획을 어느 정도 세워 놓고 첫 매수를 시작합니다. 첫 분할 매수를 했는데 상승합니다. 이상하게도 비중이 적을 때는 사자 마자 잘 오릅니다 . 아쉽습니다. 비중이 많았더라면... 이 위치에서 사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고, 비중을 많이 싣습니다. 하지만, 귀신 같이 종목이 흘러내립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비중이 적었기에 하락에도 어느 정도 심리적으로 여유가 있어서 상승을 기다릴 수 있었던 것 입니다. 물론, 정말 바로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냥 그대로 이익을 취...

주식 시장에서 살아남기 (feat. 한국 주식 시장) - 실전 주식 투자 | Surviving the Stock Market (feat. Korea Stock Market)

주식 시장에서 살아남기 (feat. 한국 주식 시장) A. 비중 싣기 처음 주식 투자를 하게 되면, "종목을 빨리 매수해야겠다"는 조급함이 앞섭니다. 하지만, 이것이 욕심인지 알지 못합니다. 경력이 있는 투자자들도 이런 조급함을 가지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종목의 흐름과는 상관없이 계속 매수합니다. 지금 사야 할 지, 말아야 할 지를 계속 고민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묻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이를 거치면서 사야 할 때와 말아야 할 때를 자연스럽게 알아갑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 경력이 꽤 있는데도 주위에 이런 질문을 계속하고 있다면, 매매를 멈추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만의 매수 기준이 없는 것 입니다. 이런 경우는 주식 매매에 대한 깊은 고민이 없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초기 매수 이후, 추가 매수 시점은 거래 대금이 다시 살아나면서 상승 파동이 생길 때라고 생각합니다. B. 내려 놓기 저의 경우를 보자면, 주식 매매를 할수록 비중에 대한 욕심을 내려놓게 되었습니다. 무거워진 비중으로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서 대응하기가 힘들었습니다. 한국 주식 시장은 실력 있는 기업은 많지만, 해외 주식 시장이 오를 때 같이 오르지 못하고, 내릴 때 연동해서 같이 내리는 특징 을 가지고 있습니다. 꾸준히 우상향 하는 시장이 아니기에 믿음을 가지고 비중을 많이 싣는 선택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가격 박스권을 형성하므로 개인 투자자의 민첩성을 살려 투자하기에 괜찮은 시장 으로 판단했습니다. "내려 놓기"라고 했지만,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 맞는 투자 방법을 찾은 것으로 보는 것이 더 맞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제가 미국인이고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했다면, 지금의 투자 패턴과는 조금은 달랐을 것 입니다. C. 결론 - 언제나 하락 상황 대비 한국 주식 시장의 체질이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지금의 매매 패턴은 계속 유지할 것입니다. 하지만, "내려 놓는다"는 마음가짐은 어느 주식 시장에서 투자...

공격과 방어의 균형 - 실전 주식 투자 | Equity Investment Attack and Defense Balance

공격과 방어의 균형 A. 절대적 약자 2025년 9월 12일 현재, 코스피 지수는 3395.54, 코스닥 지수는 847.08 입니다. 코스피 지수는 역사적 고점 입니다. 상승 랠리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지금은 단기적이라도 조금은 하락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 아닌가 합니다. 이익 실현 후 현금 확보, 혹은 이익 실현은 못했더라도, 현금 확보는 어느 정도 되어 있어야 하는 상황으로 봅니다. 축구에서 약팀이 강팀을 상대할 때 쓰는 오랜 전략이 있습니다. 선수비, 후역습입니다. 주식 투자도 똑 같습니다. 개인은 기관 투자자에 비해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약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력 파악을 못하고, 뒷 문을 열어둔 채  공격부터 하게 되면 결과는 처참한 패배 입니다. 어리석게도 모든 재산을 걸었다면, 다음 경기를 할 수조차 없습니다. 경기를 시작하면 철저하게 수비가 먼저 입니다. 개인은 언더독입니다. 언더독이 경기에 이겨야 하기에 더 치밀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웅크리고 있다가 공격 기회를 찾습니다. 상대가 일방적으로 몰아 붙이다가, 헛점을 보일 때가 공격할 수 있는 기회 입니다. 매수할 수 있는 시점 입니다. 공격 이후, 유리한 상황이 생겨야 내가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계속 이어질 수는 없습니다. 개인은 철저한 약자임을 항상 인식 하고 있어야 합니다. B. 선수비, 후역습의 반복 축구에서는 "영원한 강자도 영원한 약자도 없다" 합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에서는 영원한 강자와 영원한 약자가 있습니다. 개인은 기관 만큼의 자금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기관 만큼 자금력을 가지게 되지 않는 한 개인은 영원한 약자 입니다. 자금력으로 밀어 붙일 수 없습니다. 수비 후 역습을 반복하는 전략 을 펼쳐야 합니다. 항상 웅크리고 있어야 합니다. 기회가 왔을 때만 힘을 실어 공격 합니다. 일시적으로 우월한 환경이 되어서 공격할 수는 있지만, 상황이 바뀌면 빠르게 나의 포지션을 재정비 ...

처음부터 깐깐하게 매수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 실전 주식 투자 | You have to buy stocks strictly from the beginning to survive

처음부터 깐깐하게 매수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A. 비중을 아낍니다. 검색 식을 이용하여 나의 매매 패턴에 맞는 종목들을 추립니다. 추린 종목 중에서도 오늘 주가의 위치와 흐름이 괜찮아 보이는 종목을 선정 합니다. 선정한 종목은 거래 대금이 지속 발생하여 파동을 줄 수 있는 종목이어야 합니다.  최대한 상승할 것으로 생각하는 종목을 선정 합니다. 지금 시점에서 받아갈 목적으로, 어중간하게 종목을 선정하지 않습니다 . 최대한 상승할 것 같은 종목을 선정하더라도, 이 종목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확률은 반반 입니다. 이런 식으로 종목 선정을 하지 않으면, 대부분 큰 확률로 하락할 종목을 선정하게 됩니다. 종목의 선택부터 깐깐하게 해야 합니다. 깐깐하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오후 2시 이후 천천히 분할 매수하거나, 종가에 종목 투자 금액의 8~12% 정도를 매수합니다. 흔히 보초병을 세운다고 얘기합니다. 욕심을 내지 않습니다. "느슨하게 매수하지 않는다"는 마음가짐을 항상 가집니다. 비중을 아낍니다. 언제든 하락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매수합니다. 이렇게 깐깐한 매수를 하더라도 어느 순간 초심을 잃고 무리한 매수를 할 수 있습니다.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B. 평가 손실의 최소화 주식 시장은 돈의 전쟁터입니다. 개인들이 상대할 기관 투자자들은 그야말로 고도로 훈련 된 특수군 들입니다. 이러한 전쟁터에서 느슨하게 행동해서는 안됩니다. 방심하는 순간 모든 것을 털리게 됩니다. 유리한 위치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기다려야 합니다. 예측해서 미리 무방비 상태로 뛰어 들었다가는 그야말로 총알 받이가 될 수 있습니다. 기준 없이 느슨하게 "이 정도면 더 매수해도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매수하다 보면 어느 순간 평가 손실은 커지고, 물려 있는 종목들이 한 두 종목 씩 늘어납니다. 시간을 두면서  주가와 평균 단가의 이격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기다리는 매수...

본인만의 매수 원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실전 주식 투자 | You must have your own stock purchase principle

본인만의 매수 원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A. 원칙 없는 매수 투자할 종목이 정해지면, 매수를 시작합니다. 경험이 없고, 정보에 의존하는 매매를 하는 투자자일수록 비중을 채우는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하지만, 본인은 이것이 빠른지 알지 못합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경험이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매수 비중과 매수할 종목의 차트 상의 위치를 생각 하게 됩니다. 그리고, 분할 매수를 시작 합니다. 나름 분할 매수를 한다고 하지만, 막대한 평가 손실을 기록하는 종목은 계속 발생 합니다. 그러면서, 이 분할 매수 속도 또한 매우 빠르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며칠에 나누어서 분할 매수를 한다고 하지만, 결국은 같은 가격대에서 비중만 커지는 매수 를 하고 있습니다. 이후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비중만 커진 상황에서 평가 손실률은 커지게 됩니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주가가 상승하기 만을 기다리게 됩니다. 악순환의 반복입니다. B. 매수 속도 조절과 과매수 방지 이제는 초기 비중을 채운 상태에서 주가의 흐름을 봅니다. 저의 경우 초기 비중은 종목 투자 금액의 대략 8~12% 정도 입니다. 초기 비중은 경험이 쌓이고 세월이 흐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종가 매수 혹은 하루에 분할로 이 비중을 매수하는 편 입니다. 초기 비중을 조금 더 할 수도 있겠지만, 종목의 하락 시, 평균 단가를 용이하게 낮추고, 불필요한 분할 손실 매도를 줄이기 위해서 이 정도 비중이 저에게는 적당했습니다 . 급상승 시에는 초기 비중을 분할 매도하는데 집중 합니다. 완만한 상승 흐름을 보일 때는 평균 단가를 급하게 올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 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도  무리한 매수는 급락 시, 실현 손실 혹은 평가 손실을 커지게 하는 원인 이 될 수 있습니다. 보수적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매수 속도를 종목의 상하 흐름의 속도에 맞춤으로써, 불필요한 과매수와 손실 매도를 줄이려고 하는 편 입니다. 일부 비중을 손실 상황에서 매도함으로써 생기는 실현 손실...

투자 손익 비율에 대한 생각 - 실전 주식 투자 | Thoughts on the ratio of investment gains and losses

투자 손익 비율에 대한 생각 A. 손익비를 생각한다는 것 투자에 조금 이라도 관심이 있고, 투자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손익비를 생각하라" 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직관적으로 생각하기에 손실과 이익 비율인데, 곰곰히 생각해 보면 어떻게 "손익비를 생각하라"는 것인지 와 닿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익 금액과 손실 금액을 비교하라는 것인지, 이익률과 손실률을 비교하라는 것인지 막연 합니다. 그래서, 처음 주식을 매수하는 순간부터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을 매수하지 않았을 때는 손실도 "0", 이익도 "0"인 상태입니다. 이후, 주식을 매수하게 되면, 그 순간부터 손실이 날 수도, 이익이 날 수도 있는 상황 이 벌어집니다. 일종의 확률 게임이 벌어지는 것 입니다. 내가 사고 주가가 오르면, 이익 확률 5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상황을 유지하며, 이익 상황으로 끝내면 최종적으로 이익 확률 100%가 됩니다. 반대로 주가가 내리면, 손실 확률 50% 이상의 확률을 유지하다가, 100% 손실로 확정될 수도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익 구간에서 일부 이익을 거둘 수도, 손실 구간에서 일부 손실을 거둘 수도 있습니다. "손익비를 생각하라" 는 말은 이익 금액이 얼마, 손실 금액이 얼마, 이익률이 얼마, 손실률이 얼마의 구체적인 숫자가 아니라, 내가 이익을 거둘 확률을 높이라는 말로 저는 이해 하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손익 금액과 손익률은 종목의 상황에 따라, 투자하는 사람의 성향, 그릇, 매매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B. 이익 확률을 높임 잃기 위해서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손익비를 생각하라"는 이 추상적인 말은 결국 "매 순간 이익 확률을 높여라" 라는 말 로 받아들여 졌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이익 확률을 높일 수 있을까요? 주식은 변동성이 있을 때,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가...

매도와 매수의 가장 큰 차이 - 실전 주식 투자 |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selling and buying stocks

매도와 매수의 가장 큰 차이 A. 분할 매도 비중과 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분할 매수, 분할 매도를 합니다. 첫 매수를 시작한 후, 하락 시에는 추가 매수를 멈춘 후, 양봉 혹은 횡보 흐름이 나오기 시작하면 추가 매수를 합니다. 상승 시에는 매도를 시작합니다. 주가가 상승할 때, 분할 매도를 해야 하는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 봅니다. 이익을 실현하는 방식은 개개인이 모두 다릅니다. 종목을 추천하는 사람들은 추천 종목의 목표 주가와 손절가를 정해 줍니다. 그 말을 듣고 목표 주가가 오기 전까지는 전혀 팔지 않고, 기다리는 투자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이런 방법이 옳을까요? 주식 매매는 매 순간이 선택의 연속 입니다. 상황을 가정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주가가 상승 중인 어느 한 시점이 있습니다. 내가 전혀 매도를 하지 않았는데, 주가가 하락합니다. 이 때, 어떤 생각이 들까요? 팔았어야 하는데.. 이런 생각이 들 겁니다. 반대로, 어느 한 시점에서 내가 전부 팔았다고 생각을 해봅니다. 그런데, 주가는 상승합니다. 이 때, 어떤 생각이 들까요? 안 팔았어야 하는데.. 이런 생각이 들 겁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양 쪽 모두를 고려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면, 방법은 분할 매도 입니다. 매 선택의 순간 적당함을 유지한 분할 매도가 필요 합니다. 분할 매도의 규모와 간격은 각 개인의 비중과 전체 계좌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B. 주도권 차이 매수도 매도와 마찬가지 입니다. 매 순간이 선택의 연속입니다.  매수는 공격보다는 방어가 우선 입니다. 내가 사면 상승한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항상 하락 상황을 대비하고 매수 해야 합니다. 분할 매수 없이, 상승 만을 바라 보고 매수를 한다면, 급락 상황에서는 속수무책입니다. 손절매도 혹은 기다림, 두 가지 선택 뿐입니다. 분할 매수를 해야 하는 가장 단순하면서, 명확한 이유 입니다. 비중이 작은데 상승한다. 좀 더 살걸.. 이것은 어...

과비중과 비중 조절 - 실전 주식 투자 | Stock overweight and overweight control

과비중과 비중 조절 A. 나도 알지 못하는 사이 과비중 재무 상태와 실적이 좋은 우량한 종목을 찾아 조심스럽게 매수를 이어가지만, 나도 모르는 사이에 과비중이 됩니다. 투자 금액 대비 주식 비중을 체크하지만, 처음에는 어느 정도 비중이 되어야지 내가 감당할 수 있는지 모릅니다. 자신에게 맞는 주식 비중을 찾아가는 데는 시간이 걸립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물리는 종목이 많아지면서 평가 손실이 계속 커지지만,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면 감당할 수 있는 주식 비중을 넘은 것입니다. 초기 적정 비중 점검이 필요 합니다. 평소 내가 유지해야 할 적절한 주식 비중이 어느 정도 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내가 이제까지 초기 매수 비중이 컸다고 생각하면, 초기에 매수 비중을 줄여주면 됩니다. 초기 매수 비중이 컸지만, 이 비중을 줄이고 싶지 않다면, 이 후 종목의 흐름에 맞춰 손실 상황에서 일부 비중을 줄여주었다가,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해 다시 일부 분할 매수 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매매 중 실현 손실은 감수해야 합니다. 선택 상황이 됩니다. 애초에 조심스럽게 매수할 것인지, 조금 과감하게 매수했다가, 나중에 손실 상황에서 일부 비중을 매도하여 실현 손실을 감수할 것인지 선택 합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가장 하지 말아야 할 것은 초기에 몰빵 매수를 해서 뒤가 없게 만드는 매수입니다. B. 주가 하락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먼저 심리적으로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 지를 알아가야 합니다. 하락 상황이야 숨 쉬듯 오지만, 처음에는 내 비중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나의 예측이 틀렸고, 종목과 시장 상황의 변화에 대해 원망 합니다. 종목과 시장 상황을 예측해서 맞추려고 합니다. 올라갈 자리를 찾고, 지지선, 저항선, 여러가지 지표, 경제 상황에 대해 공부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더라도 정답을 찾을 수는 없습니다. 차트와 지표, 시장에 대한 공부가 투자에 도움은 될 수 있지만, 이것이 수익을 보장해 주지는 않습니...